▲ 미국 트럼프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장비 반입을 제한하는 이유는 미국에 메모리반도체 투자를 압박하기 위해서일 수 있다는 투자은행의 관측이 제시됐다. SK하이닉스 중국 우시 반도체공장. |
[비즈니스포스트] 트럼프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장비 중국 반입을 규제하는 것은 미국 내 투자를 압박하려는 노림수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제재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메모리반도체 공장은 현지 업체들과 비교해 경쟁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는 전망도 제시됐다.
CNN은 5일 “중국은 여러 반도체 기업들에 중요한 생산 거점으로 남아있다”며 “그러나 미국 정부의 영향력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정부는 최근 한국과 대만 기업의 중국 반도체 공장에 미국의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장비를 비교적 자유롭게 반입할 수 있도록 한 규정을 철회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TSMC가 중국에 설비 투자를 할 때마다 미국의 승인을 받도록 의무화해 사실상의 규제 강화를 실시한 셈이다.
투자은행 CLSA는 앞으로 반도체 제조사들이 미국 정부의 허가를 받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허비할 수밖에 없고 결국에는 공급 차질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에 메모리반도체 생산을 크게 의존하고 있어 이번 정책 변화에 더 취약할 것이라는 분석도 제시됐다.
트럼프 정부가 의도적으로 메모리반도체 제조사를 겨냥한 규제를 실시한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CLSA는 “미국은 결국 이번 규제로 메모리반도체 기업들이 일부 설비를 미국 내에 구축하기를 원했던 것일 수 있다”며 “현재 상황에서는 중국에서 생산을 이어가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현지 경쟁사에 시장 점유율을 내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씽크탱크 카네기멜론 전략기술연구소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 반도체 공장에 투자하기 어려워지면 결국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국 경쟁사에 밀릴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트럼프 정부가 더 나아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중국 내 장비 반입을 대가로 미국에 일정 비용을 지불하라는 요구를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제시됐다.
엔비디아가 중국에 인공지능 반도체를 수출할 수 있는 허가를 받는 대신 트럼프 정부에 일부 매출을 공유하기로 한 것과 유사한 계약이 이뤄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CNN은 “미국 정부는 중국이 다른 국가의 반도체에 접근하기 어렵도록 하겠다는 의도를 두고 있다”며 “이는 중국의 반도체 산업을 키우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