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초대형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구축에 수혜를 입을 것으로 분석됐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15일 “AI 서버 수요 증가는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 외에도 고대역폭메모리(HBM)와 DDR5와 같은 메모리 수요로 이어진다”며 “빅테크의 AI 설비투자 불확실성은 일부 해소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5월13일 사우디아라비아의 국부펀드(PIF)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휴메인(Humain)’과 500메가와트(MW) 규모의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5년 계약으로 엔비디아는 최신 AI 반도체인 GB300을 약 1만8천 개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향후 엔비디아 블랙웰 울트라(GB300) 수요가 적을 수 있다는 일부의 관측인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단일 데이터센터 기준으로 글로벌 최대 수준인 500MW 규모의 데이터센터는 일반적인 데이터센터의 전력소비량인 50~300MW 대비 대규모 시설이다.
김 연구원은 “엔비디아는 GB300 가격(3만~4만 달러)를 고려했을 때, 사우디아라비아의 데이터센터 구축 계약을 통해 7억 달러(약 1조 원) 이상의 신규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며 “이는 엔비디아 연간 매출의 0.6% 수준에 불과하지만, 향후 유사한 대규모 계약의 단초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엔비디아와 사우디의 계약은 HBM, DDR5 등 고성능 메모리 수요도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 연구원은 “반도체 업종에서 향후 예상되는 시나리오는 관세 협상의 추가 진전 여부, 엔비디아 신제품의 본격 출하 시기 변화”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이미 상당 부분 주가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불확실성 조기 해소 여부에 따라 주가 방향성과 기울기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15일 “AI 서버 수요 증가는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 외에도 고대역폭메모리(HBM)와 DDR5와 같은 메모리 수요로 이어진다”며 “빅테크의 AI 설비투자 불확실성은 일부 해소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 엔비디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초대형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구축이 고성능 메모리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증권사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연합뉴스>
엔비디아는 5월13일 사우디아라비아의 국부펀드(PIF)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휴메인(Humain)’과 500메가와트(MW) 규모의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5년 계약으로 엔비디아는 최신 AI 반도체인 GB300을 약 1만8천 개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향후 엔비디아 블랙웰 울트라(GB300) 수요가 적을 수 있다는 일부의 관측인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단일 데이터센터 기준으로 글로벌 최대 수준인 500MW 규모의 데이터센터는 일반적인 데이터센터의 전력소비량인 50~300MW 대비 대규모 시설이다.
김 연구원은 “엔비디아는 GB300 가격(3만~4만 달러)를 고려했을 때, 사우디아라비아의 데이터센터 구축 계약을 통해 7억 달러(약 1조 원) 이상의 신규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며 “이는 엔비디아 연간 매출의 0.6% 수준에 불과하지만, 향후 유사한 대규모 계약의 단초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엔비디아와 사우디의 계약은 HBM, DDR5 등 고성능 메모리 수요도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 연구원은 “반도체 업종에서 향후 예상되는 시나리오는 관세 협상의 추가 진전 여부, 엔비디아 신제품의 본격 출하 시기 변화”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이미 상당 부분 주가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불확실성 조기 해소 여부에 따라 주가 방향성과 기울기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