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엔씨소프트가 직전 분기와 비교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엔씨소프트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 3603억 원, 영업이익 52억 원, 순이익 375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대규모 적자를 냈던 직전 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2% 줄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은 9%, 영업이익은 80%, 순이익은 34% 각각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매출을 살펴보면 한국 2283억 원, 아시아 561억 원, 북미∙유럽 309억 원 순이다. 로열티 매출은 45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다. 해외 및 로열티 매출의 비중은 전체 매출의 37%를 차지했다.
플랫폼별 매출을 살펴보면 모바일 게임 2063억 원, PC 게임 833억 원을 기록했다.
엔씨소프트는 이날 공시를 통해 2026년 매출 목표 가이던스를 최소 2조 원으로 발표했다.
주요 지표 예측치를 기준으로 리니지 등 기본 지식재산권(IP)의 지속적인 확장과 2025년 하반기 신작 출시 효과 등을 반영해 산출했다. 신작 라인업의 성과에 따라 최대 2조5천억 원까지 매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목표 매출 달성의 구체적 방안으로는 △대규모 업데이트, 서비스 지역 확장, 스핀 오프 게임 출시 등 ‘기존 IP 확장’ △아이온2, LLL, 브레이커스, 타임 테이커즈 등 ‘신규 IP 출시 본격화’ 등을 제시했다.
또 강도 높은 경영효율화를 진행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비용절감을 위한 노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홍원준 엔씨소프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콘퍼런스 콜을 통해 “임직원 수는 지난해 대비 15% 감소해 현재 본사 기준으로 4900명 가량”이라며 “올해에도 비용구조와 항목에 대해 감소를 추진하고 해외 자회사 추가 감원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
엔씨소프트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 3603억 원, 영업이익 52억 원, 순이익 375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 엔씨소프트는 올해 1분기 매출 3603억 원을 거뒀다고 14일 밝혔다. 사진은 엔씨소프트 본사 사옥.
대규모 적자를 냈던 직전 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2% 줄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은 9%, 영업이익은 80%, 순이익은 34% 각각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매출을 살펴보면 한국 2283억 원, 아시아 561억 원, 북미∙유럽 309억 원 순이다. 로열티 매출은 45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다. 해외 및 로열티 매출의 비중은 전체 매출의 37%를 차지했다.
플랫폼별 매출을 살펴보면 모바일 게임 2063억 원, PC 게임 833억 원을 기록했다.
엔씨소프트는 이날 공시를 통해 2026년 매출 목표 가이던스를 최소 2조 원으로 발표했다.
주요 지표 예측치를 기준으로 리니지 등 기본 지식재산권(IP)의 지속적인 확장과 2025년 하반기 신작 출시 효과 등을 반영해 산출했다. 신작 라인업의 성과에 따라 최대 2조5천억 원까지 매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목표 매출 달성의 구체적 방안으로는 △대규모 업데이트, 서비스 지역 확장, 스핀 오프 게임 출시 등 ‘기존 IP 확장’ △아이온2, LLL, 브레이커스, 타임 테이커즈 등 ‘신규 IP 출시 본격화’ 등을 제시했다.
또 강도 높은 경영효율화를 진행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비용절감을 위한 노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홍원준 엔씨소프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콘퍼런스 콜을 통해 “임직원 수는 지난해 대비 15% 감소해 현재 본사 기준으로 4900명 가량”이라며 “올해에도 비용구조와 항목에 대해 감소를 추진하고 해외 자회사 추가 감원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