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h수협은행이 지난해 영업이익이 많이 늘었음에도 사회공헌사업 규모는 절반으로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승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수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협은행의 영업이익은 2021년 3163억 원으로 2020년보다 482억 원 증가했다.
하지만 사회공헌사업 집행금액은 2020년 39억 원에서 2021년 11억 원으로 절반 넘게 줄었다.
특히 영업이익 대비 사회공헌사업 집행률은 2021년 0.37%로 2018년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NH농협은행의 사회공헌사업 집행금액은 2018년 1478억 원, 2019년 1,592억 원, 2020년 1,647억 원, 2021년 1,910억 원 등으로 해마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승남 의원은 “‘더 나은 미래를 함께하는 해양수산 대표은행’을 표방하고 어업인을 위한 실질적 지원 등 3대 사회공헌사업 목표를 제시한 것과 달리 수협은행은 사회공헌사업 예산의 상당 부분을 수산업이나 어업인, 어촌 등 목표와 무관한 사업에 지원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수협은행의 사회공헌사업 예산은 은행 공동 사회공헌사업으로 추진된 △일자리창출 목적 펀드(52억100만 원, 20.2%) △일자리기업 협약보증(10억300만 원, 3.9%) △사회적금융 활성화사업(4억900만 원, 1.6%) △코로나19 취약계층 근로자지원(3억400만 원, 1.2%) △코로나19 취약계층 농어촌지원(1억5200만 원, 0.6%) 등에 쓰인 것으로 파악됐다.
햇살론 등 재원으로 사용되는 △휴면예금 출연(51억5천만 원, 20.0%) △휴면자기앞수표 출연(44억3500만 원, 17.2%)에 지원된 액수는 95억8500만 원(37.2%)으로 조사됐다.
반면 2018년 이후 수협은행이 진행한 예산 상위 10위 사회공헌사업 가운데 수산업이나 어업인, 어촌 등에 관한 사회공헌사업은 어촌복지기금(16억 원, 6.2%), 수산인 권익 향상 및 수산업 발전을 위한 후원(7억 원, 2.7%) 등으로 비중이 크지 않았다.
김승남 의원은 “수협은행은 어업인의 땀과 희생으로 만들어진 금융기관”이라며 “수협은행이 벌어들인 영업이익의 상당 부분은 어업인의 땀과 희생이 바탕이 된 것이므로 영업이익의 일정 부분을 사회공헌사업 예산으로 편성하고, 수협 정체성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만들어 어업인과 어촌인들에게 환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
2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승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수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협은행의 영업이익은 2021년 3163억 원으로 2020년보다 482억 원 증가했다.

▲ Sh수협은행이 영업이익 증가에도 사회공헌사업 집행금액 규모를 줄였다는 지적이 나왔다.
하지만 사회공헌사업 집행금액은 2020년 39억 원에서 2021년 11억 원으로 절반 넘게 줄었다.
특히 영업이익 대비 사회공헌사업 집행률은 2021년 0.37%로 2018년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NH농협은행의 사회공헌사업 집행금액은 2018년 1478억 원, 2019년 1,592억 원, 2020년 1,647억 원, 2021년 1,910억 원 등으로 해마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승남 의원은 “‘더 나은 미래를 함께하는 해양수산 대표은행’을 표방하고 어업인을 위한 실질적 지원 등 3대 사회공헌사업 목표를 제시한 것과 달리 수협은행은 사회공헌사업 예산의 상당 부분을 수산업이나 어업인, 어촌 등 목표와 무관한 사업에 지원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수협은행의 사회공헌사업 예산은 은행 공동 사회공헌사업으로 추진된 △일자리창출 목적 펀드(52억100만 원, 20.2%) △일자리기업 협약보증(10억300만 원, 3.9%) △사회적금융 활성화사업(4억900만 원, 1.6%) △코로나19 취약계층 근로자지원(3억400만 원, 1.2%) △코로나19 취약계층 농어촌지원(1억5200만 원, 0.6%) 등에 쓰인 것으로 파악됐다.
햇살론 등 재원으로 사용되는 △휴면예금 출연(51억5천만 원, 20.0%) △휴면자기앞수표 출연(44억3500만 원, 17.2%)에 지원된 액수는 95억8500만 원(37.2%)으로 조사됐다.
반면 2018년 이후 수협은행이 진행한 예산 상위 10위 사회공헌사업 가운데 수산업이나 어업인, 어촌 등에 관한 사회공헌사업은 어촌복지기금(16억 원, 6.2%), 수산인 권익 향상 및 수산업 발전을 위한 후원(7억 원, 2.7%) 등으로 비중이 크지 않았다.
김승남 의원은 “수협은행은 어업인의 땀과 희생으로 만들어진 금융기관”이라며 “수협은행이 벌어들인 영업이익의 상당 부분은 어업인의 땀과 희생이 바탕이 된 것이므로 영업이익의 일정 부분을 사회공헌사업 예산으로 편성하고, 수협 정체성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만들어 어업인과 어촌인들에게 환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